이곳은 개발을 위한 베타 사이트 입니다.
기여내역은 언제든 초기화될 수 있으며, 예기치 못한 오류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

Paranoid Android

덤프버전 :

파일:라디오헤드 로고.svg


[ Studio Albums ]
파일:pablohoney.jpg
파일:thebends.jpg
파일:okcom.jpg
파일:kid a.jpg
파일:amnesiac.jpg

1993년 2월 22일

1995년 3월 13일

1997년 6월 16일

2000년 10월 2일

2001년 6월 5일
파일:라헤 6집.jpg
파일:inrainbows.jpg
파일:라헤 8집.jpg
파일:라헤 9집.jpg

2003년 6월 9일

2007년 10월 10일

2011년 2월 18일

2016년 5월 8일
[ Singles ]

파일:creepsingle.jpg
파일:누구나기타침.jpg
파일:팝이즈데드.jpg
파일:stopwhisper.jpg
파일:myironlung.jpg
Creep
1992년 9월 21일
Anyone Can Play Guitar
1993년 2월 1일
Pop Is Dead
1993년 5월 10일
Stop Whispering
1993년 10월 5일
My Iron Lung
1994년 9월 26일
파일:highplanet.jpg
파일:fakeplastictree.jpg
파일:radioheadjust..jpg
파일:streetspirit.jpg
파일:벤즈싱글..jpg
High and Dry / Planet Telex
1995년 2월 27일
Fake Plastic Trees
1995년 5월 15일
Just
1995년 8월 7일
Street Spirit (Fade Out)
1996년 1월 22일
The Bends
1996년 7월 26일
파일:파라노이드안드로이드.jpg
파일:카르마폴리스.jpg
파일:라헤럭키.jpg
파일:노서프라이즈.jpg
파일:pyramidsong.jpg
Paranoid Android
1997년 5월 26일
Karma Police
1997년 8월 25일
Lucky
1997년 12월
No Surprises
1998년 1월 12일
Pyramid Song
2001년 5월 21일
파일:knivesout.jpg
파일:there there.jpg
파일:GTS..jpg
파일:2+2=5,.jpg
파일:라헤직쏘.jpg
Knives Out
2001년 8월 6일
There, There
2003년 5월 26일
Go to Sleep
2003년 8월 18일
2 + 2 = 5
2003년 11월 17일
Jigsaw Falling into Place
2008년 1월 14일
파일:라헤누드.jpg
파일:harrypatch.jpg
파일:thesearewords.jpg
파일:Supercollider / The Butcher.jpg
파일:The Daily Mail / Staircase.jpg
Nude
2008년 5월 31일
Harry Patch (In Memory Of)
2009년 8월 5일
These Are My Twisted Words
2009년 8월 17일
Supercollider / The Butcher
2011년 4월 16일
The Daily Mail / Staircase
2011년 12월 19일
파일:SPECTRE.jpg
파일:번더위치고화질.jpg
파일:데이드리밍고화질.jpg
파일:okcom2017.jpg
파일:okcom2017.jpg
Spectre
2015년 12월 25일
Burn the Witch
2016년 5월 3일
Daydreaming
2016년 5월 6일
I Promise
2017년 6월 2일
Man of War
2017년 6월 22일
파일:kidamnesia.jpg
파일:kidamnesia.jpg
If You Say the Word
2021년 9월 7일
Follow Me Around
2021년 11월 1일



파일:okcom.jpg
OK Computer
트랙리스트
||


Paranoid Android의 수상 이력
[ 펼치기 · 접기 ]

파일:D35299F0-A94E-4256-858A-16C852ABB793.png
어클레임드 뮤직 선정 올타임 노래
67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S_500_Front_Cover.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000,#fff 256위
2004년}}}

파일:external/upload.wikimedia.org/200px-RS_500_Front_Cover.jpg
롤링 스톤 선정 500대 명곡

2004년 256위
2010년 257위
@연도3@년 @순위3@위












파일:sonemic.pngRate Your Music 전체 싱글 차트
17위



파일:기타월드 로고.png
기타 월드 선정 100대 기타 솔로 명곡
[ 펼치기 · 접기 ]

미국의 기타 및 음악 잡지 기타 월드(Guitar World)가 선정한 "가장 위대한 기타 솔로 100곡"의 명단이다.
1위Stairway to Heaven
2위Eruption
3위Free Bird
4위Comfortably Numb
5위All Along the Watchtower
6위November Rain
7위One
8위Hotel California
9위Crazy Train
10위Crossroads
11위Voodoo Child (Slight Return)
12위Johnny B. Goode
13위Texas Flood
14위Layla
15위Highway Star
16위Heartbreaker
17위Cliffs of Dover
18위Little Wing
19위Floods
20위Bohemian Rhapsody
21위Time
22위Sultans of Swing
23위Bulls on Parade
24위Fade to Black
25위Aqualung
26위Smells Like Teen Spirit
27위Pride and Joy
28위Mr. Crowley
29위For the Love of God
30위Surfing with the Alien
[ 31위 - 100위 ]

31위Stranglehold
32위Machine Gun
33위The Thrill Is Gone
34위Paranoid Android
35위Cemetery Gates
36위Black Star
37위Sweet Child O' Mine
38위Whole Lotta Love
39위Cortez the Killer
40위Reelin' In the Years
41위Brighton Rock
42위While My Guitar Gently Weeps
43위Sharp Dressed Man
44위Alive
45위Light My Fire
46위Hot for Teacher
47위Jessica
48위Sympathy for the Devil
49위Europa
50위Shock Me
51위No More Tears
52위The Star-Spangled Banner (우드스탁 페스티벌 지미 헨드릭스 커버 버전)
53위Since I've Been Loving You
54위Geek U.S.A.
55위Satch Boogie
56위War Pigs
57위Walk
58위Cocaine (에릭 클랩튼 커버 버전)
59위You Really Got Me
60위Zoot Allures
61위Master of Puppets
62위Money
63위Scar Tissue
64위Little Red Corvette
65위Blue Sky
66위The Number of the Beast
67위Beat It
68위Starship Trooper
69위And Your Bird Can Sing
70위Purple Haze
71위Maggot Brain
72위Walk This Way
73위Stash
74위Lazy
75위Won't Get Fooled Again
76위Cinnamon Girl
77위Man In The Box
78위Truckin'
79위Mean Street
80위You Shook Me All Night Long
81위Sweet Jane
82위21st Century Schizoid Man
83위Scuttle Buttin'
84위Lights Out
85위Moonage Daydream
86위Whipping Post
87위Highway 61 Revisited
88위Kid Charlemagne
89위Killing In The Name
90위Let It Rain
91위I Heard It Through The Grapevine
92위Stray Cat Strut
93위The End
94위Working Man
95위Yellow Ledbetter
96위Honky Tonk Women
97위Beyond the Realms of Death
98위Under a Glass Moon
99위Cause We've Ended as Lovers
100위Wanted Dead or Alive






Paranoid Android
싱글 발매일1997년 5월 26일
앨범 발매일1997년 6월 16일
녹음일1996년 7월1997년 3월
장르얼터너티브 록, 아트 록
러닝 타임6:26
작사/작곡라디오헤드
프로듀서나이젤 고드리치, 라디오헤드
수록 앨범
레이블파일:7FF17EF7-7612-4390-BF5C-B00EF61850AD.jpg 팔로폰 레코드
[ 싱글 커버 ]

파일:파라노이드안드로이드.jpg


1. 개요
2. 상세
3. 가사
4. 여담



1. 개요[편집]


뮤직 비디오1997년 줄스 홀랜드 라이브
2003년 글래스톤베리 라이브2009년 레딩 페스티벌 라이브
2012년 지산 밸리 록 페스티벌 라이브2016년 롤라팔루주아 페스티벌 라이브
1997년 발표된 라디오헤드의 3집 OK Computer의 두 번째 트랙으로 수록된 곡이자 첫 번째 싱글.


2. 상세[편집]


라디오헤드의 모든 곡들 중 가장 높은 평론적 평가를 받는 곡[1]이며, 동시에 라디오헤드 역사상 Creep 다음으로 상업적으로 성공한 곡[2]이다. 1990년대를 상징하는 트랙 중 하나로 자주 언급되는 곡으로 특유의 전위적인 구성으로 인하여 발매 25년이 된 지금도 회자되는 명곡이다.

라디오헤드의 마스터피스로 불리는 명곡으로, 롤링스톤지 독자 선정 라디오헤드 명곡에서 1위를 차지하였으며, 또한 NME에서 2011년에 선정한 15년 동안 음악 팬들에게 사랑을 받아온 150곡의 베스트 트랙으로 이 곡이 1위로 선정되었다.

1997년 발매된 라디오헤드 3집 OK Computer에 수록되었으며, 리드싱글로 발매되어 영국 차트 3위를 기록했다. 비틀즈Happiness Is a Warm Gun에게 큰 영향을 받은 곡으로서, 그 곡들처럼 이질적인 여러 부분들로 이루어진 5중구조로 만든 야심찬 곡이다. 보헤미안 랩소디처럼 라디오에서 곡이 너무 길다고 편집하려 했지만 라디오 버전도 준비하지 않은 밴드는 원곡 그대로 내보낼 것을 요구했고, 오히려 히트를 치게 됐다고 한다.

기존의 얼터너티브 음악들과 구성이 다르다. 잔잔한 어쿠스틱 선율로 시작하다가, 전전 고조되다가 클라이막스에서 일렉트로닉 기타의 휘몰아치는 연주까지는 기존 록과 동일하다. 허나 여기서 다시금 잔잔해지다가 마지막에 다시 휘몰아치는 사이키델릭한 리프로 마무리 되는 전형은 프로그레시브 록과 비슷하다.

곡의 구조는, 초반부의 보컬 부분(0:00 ~ 2:00), 어쿠스틱 기타 솔로 부분(2:00 ~ 2:40), 강렬한 일렉기타 솔로부분 (2:41 ~ 3:32), 후반부의 보컬 부분(3:33 ~ 5:36), 두번째 일렉기타 솔로부분(5:37 ~ 6:26)으로 구성이 5단계로 나뉜다.

가사 내용이 조금 난해하다. 이 곡의 내용에 대한 톰 요크의 설명은 이렇다. "제가 L.A.에서 겪었던 어떤 끔찍한 밤에 관한 거예요. 잘 모르지만 비즈니스상 참석한 모임에서 제가 만난 마약에 찌든 사람들에 대한 느낌을 노래했어요."

Paranoid Android는 6분 26초라는 길이로 라디오헤드곡 중 두 번째로 긴 곡이고, 제목과 가사는 은하수를 여행하는 히치하이커를 위한 안내서에서 편집적인 정신병과 우울증에 걸린 인조인간 마빈으로부터 참고 했다고 한다.

애니메이션으로 제작된 뮤직비디오에 등장하는 주요 캐릭터는 스웨덴의 만화가 Magnus Carlsson이 제작한 30편짜리 애니메이션 로빈(Robin)에서 가져온 것. 이 뮤비가 상당히 난해하다 못해 혼란스럽다 보니 여러가지 해석이 오가는 편인데, 그중 가장 유력한 해석은 톰 요크의 인터뷰에서 나왔던 내용과 관련이 있을 거라는 내용이다.

3. 가사[편집]



Paranoid Android

Please, could you stop the noise?
부탁인데, 그 소리 좀 멈춰 주겠나?
I'm trying to get some rest
좀 쉬고 싶단 말이지
From all the unborn chicken voices
저 태어나지도 않은 병아리 소리들이
In my head
머릿속에서 울리는 것으로부터
What's that?
저게 뭔가?
(I may be paranoid, but not an android)[3]
(나는 편집증일지 몰라도, 안드로이드는 아니다)
What's that?
저게 뭔가?
(I may be paranoid, but not an android)
(나는 편집증일지 몰라도, 안드로이드는 아니다)
When I am king
내가 왕이 되면
You will be first against the wall
자네가 가장 먼저 총살될 걸세
With your opinion
자네의 그
Which is of no consequence at all
아무짝에도 쓸모없는 의견도 같이
What's that?
저게 뭔가?
(I may be paranoid, but no android)
(나는 편집증일지 몰라도, 안드로이드는 아니다)
What's that?
저게 뭔가?
(I may be paranoid, but no android)
(나는 편집증일지 몰라도, 안드로이드는 아니다)
Ambition makes you look pretty ugly
야망 때문에 자네는 무척 추해지는군
Kicking, squealing, Gucci little piggy
발버둥치고 꽥꽥거리는 구찌표 돼지새끼처럼
You don't remember, you don't remember
자넨 기억하지 못해, 자넨 기억하지 못해
Why don't you remember my name?
왜 내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는 거지?
Off with his head, man, off with his head, man
그의 목을 치세, 자, 그의 목을 치세
Why don't you remember my name?
왜 내 이름을 기억하지 못하는 거지?
I guess he does
그는 기억할 텐데
Rain down, rain down
비야 내려라, 비야 내려라
Come on, rain down on me
이리로, 비야 내려라, 나에게
From a great height
아주 높은 곳에서
From a great height, height
아주 높은 곳에서, 곳에서
Rain down, rain down
비야 내려라, 비야 내려라
Come on, rain down on me
이리로, 비야 내려라, 나에게
From a great height
아주 높은 곳에서
From a great height, height
아주 높은 곳에서, 곳에서
That's it, sir, you're leaving (Rain down)
됐습니다, 각하, 떠나시는군요 (비야 내려라)
The crackle of pigskin (Rain down)
타들어가는 돼지 껍데기 (비야 내려라)
The dust and the screaming (Come on, rain down)
먼지와 절규 (이리로, 비야 내려라)
The yuppies networking (On me)
교류하는 여피족[4] (나에게)
The panic, the vomit (From a great height)
공포, 그리고 구토 (아주 높은 곳에서)
The panic, the vomit (From a great height)
공포, 그리고 구토 (아주 높은 곳에서)
God loves his children
신은 그의 어린양들을 사랑하시니까
God loves his children, yeah
신은 그의 어린양들을 사랑하시니까, 그래


파일:라디오헤드 로고.png


4. 여담[편집]


  • 위저가 이 곡을 커버하기도 했었다. 위저 특유의 찌그러진 기타소리가 특징.
  • 일본 애니메이션 에르고 프록시의 엔딩 테마로서 사용되기도 하였다.
  • 2017년에 발표된 라디오헤드의 Lift의 뮤직비디오에 Paranoid Android 뮤직비디오 주인공인 로빈이 까메오로 출연한다.
  • 초창기 데모 버전은 14분이 넘었으며, 후반부 보컬이 끝나고 기타 솔로가 아니라 조니 그린우드의 하몬드 오르간 솔로가 있었지만, 곡을 녹음하면서 삭제됐다.



[1] 어클레임드 뮤직 순위 67위이다. 대중적으로 가장 잘 알려진 Creep의 순위는 143위.[2] 오히려 영국 차트에서는 이 곡이 더 큰 히트를 쳤다. 무려 3위를 기록했다. 게다가 이때는 1997년으로, 영국 내 최고 인기 걸그룹인 스파이스 걸스가 전성기를 맞고 오아시스같은 괴물 밴드의 전성기가 끝물이었다는 점을 생각해 보면 저때 이 노래처럼 전위적인 곡이 싱글차트 3위를 기록한 것은 말 그대로 대혁명이라고 볼 수 있다.[3] 이 부분의 가사는 Fitter Happier처럼 사람 목소리가 아니라 음성 합성 소프트웨어를 사용한 것이다.[4] 여피족은 사전적으론 도시 주변을 주된 생활 기반으로 하여 지적 직업에 종사하며 새로운 삶을 지향하는 젊은이들을 뜻하는데, 실질적으론 돈 많은 부모 빽으로 편한 사무직에 종사하며 마약과 여자 등에 빠져사는 금수저 족속들이란 부정적인 인식이 많았다. 영화 아메리칸 사이코에 잘 묘사되어 있다.